클라우드 기반 건축행정시스템 민원인 매뉴얼(BIM)
발행처: 국토교통부, 건축행정시스템 세움터
등록일: 2022. 06. 21
자료출처: 세움터>정보>유용한정보>공개자료실>게시물 208번: 클라우드 세움터 민원인 매뉴얼
https://www.eais.go.kr/moct/awp/aeb01/AWPAEB01L01
클라우드 기반 건축행정시스템의 민원인 매뉴얼입니다. 이 문서는 BIM(건축 정보 모델링) 설계도서 관리 체계 서비스를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매뉴얼은 BIM 가이드 조회, BIM 설계도서 제출(표준 및 비표준), BIM 서식 입력 등의 기능 사용법을 안내하며, 특히 BIM 검토 서비스의 다양한 화면 구성과 검토 방법을 상세히 설명합니다. 또한, 체크리스트를 활용한 법규 검토 절차와 이슈 목록 관리 기능에 대한 설명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음성개요(내용설명):
첨부파일(문서):
클라우드 기반 건축행정시스템 민원인 매뉴얼(BIM)_Rev 1.5
클라우드 기반 건축행정시스템을 이용하는 민원인을 위한 매뉴얼입니다. 이 문서는 민원인이 시스템에 BIM 설계 도서를 제출하고 검토하는 과정에 대한 자세한 안내를 제공합니다. BIM 가이드 조회, 설계 도서 제출 방법(표준 및 비표준), 서식 입력, 그리고 검토 기능 사용법 등 시스템의 주요 기능과 절차를 상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특히 다양한 검토 창의 활용과 체크리스트 및 이슈 목록 관리 기능을 통해 효율적인 건축 인허가 신청을 돕는 것이 목적입니다.
1. BIM 설계도서 관리 체계의 목표:
- 클라우드 건축행정시스템을 통해 BIM 설계도서를 제출, 검토, 관리하는 것을 지원하는 서비스입니다.
- "BIM 설계도서 관리 체계는 클라우드 건축행정시스템에 BIM 설계도서를 제출하고 검토·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비스입니다." (p.3)
2. BIM 가이드 조회:
- 민원인이 클라우드 건축행정시스템에 BIM 모델을 작성하기 위해 필요한 가이드 문서를 조회하는 서비스입니다.
- 가이드 문서는 '설계기준서', '업무지침서', '검토기준서'로 구분됩니다.
- "클라우드 건축행정시스템에 민원인이 BIM파일을 설계하고 만들 수 있도록 가이드 문서를 조회하는 서비스입니다." (p.7)
- "BIM가이드 타입은 ‘설계기준서’,‘업무지침서’,‘검토기준서’로 구분되고 있으며..." (p.8)
- 설계기준서: 민원인이 BIM 설계도서를 작성하도록 돕는 문서.
- 업무지침서: 클라우드 건축행정시스템의 BIM 설계도서 관리 업무를 위한 문서.
- 검토기준서: 공무원이 BIM 설계도서를 검토하도록 돕는 문서.
3. BIM 설계도서 제출:
- BIM 제출 (표준): 세움터 BIM 가이드에 따라 설계된 IFC 파일을 제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건축/대수선/용도변경 허가 신청 시 BIM 제출 여부를 체크하고 IFC 파일을 드래그 앤 드롭 또는 파일 추가 방식으로 등록합니다.
- "BIM제출(표준)은 세움터 BIM 가이드에 따라서 설계한 IFC파일을 제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p.10)
- 표준 제출의 경우 BIM 서식 입력 서비스 사용이 가능합니다.
- BIM 제출 (비표준): 세움터 BIM 가이드에 따르지 않고 설계된 BIM 파일 및 Assess-Lite에서 검토한 법규 검토 결과 파일(CCR)을 제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IFC, CCR, CCL 파일을 제출할 수 있습니다.
- "비표준 제출은 세움터 BIM 가이드에 따르지 않고 설계한 BIM파일들을 제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Assess-Lite에서 검토한 법규검토 결과파일을 제출하는 경우에 해당 됩니다)" (p.13)
- 비표준 제출의 경우 BIM 서식 입력 서비스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 Assess-Lite는 개방형 BIM 연구단에서 개발한 법규 자동 검토 프로그램입니다.
4. BIM 서식 입력:
- 제출된 BIM 파일에서 면적 관련 정보를 추출하여 계산 결과를 화면에 표시하고 민원 서식 화면에 자동으로 입력해 주는 서비스입니다.
- 건축/대수선/용도변경 허가 신청 화면의 동별 및 층별 개요 탭에서 이용 가능합니다.
- "BIM 서식입력은 민원인이 제출한 BIM파일에서 면적관련 정보를 추출하여 계산결과를 화면에 표시하고 민원 서식 화면에 자동으로 입력해 주는 서비스입니다." (p.14)
- BIM 가이드에 의해 작성된 파일에서만 BIM 서식 입력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5. BIM 검토 (민원인):
- 제출된 BIM 설계도서를 민원인이 직접 검토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설계도서 등록 도구 내에서 BIM 제출 후 이용 가능합니다.
- 다양한 검토 창을 통해 BIM 모델, 공간 정보, 설계 개요, 속성 정보, 설계 도서, 3D/2D 뷰, 체크리스트, 이슈 목록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건축/대수선/용도변경 허가 신청 건의 설계도서 내 BIM 제출 메뉴에서 접근 가능합니다.
6. BIM 검토 화면의 주요 창:
- BIM 파일 창 (p.17): 제출된 BIM 파일을 건물, 공종, 부위별 트리 형태로 보여주며 3D 모델 통합/검토에 사용됩니다. 체크박스를 통해 모델의 표시/숨김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 공간 계층 창 (p.18): 분리 또는 통합된 IFC 파일의 공간 정보를 동/층별 트리 형태로 계층화하여 표시하며 동/층별 모델 검토에 사용됩니다. 특정 공간명을 조회하여 강조 표시할 수 있습니다.
- 설계 개요 창 (p.20): 민원 서식 정보 중 면적 관련 정보를 BIM 검토 화면에서 바로 확인하는 데 사용됩니다. 기본 개요 및 동/층별 정보를 포함합니다.
- BIM 속성 창 (p.21): 3D 객체가 가지고 있는 속성 정보를 표시하고 속성명으로 객체 특성을 검토하는 데 사용됩니다. 3D 모델에서 객체를 선택하면 속성 정보가 표시됩니다.
- 설계 도서 창 (p.22): BIM 설계 도면에서 작성된 2D 도면(간소화된 2D)을 검토하는 데 사용됩니다. 도면명을 조회하고 더블 클릭하여 2D 뷰어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3D 창 (p.23): BIM 모델을 3차원으로 시각화하여 검토하는 핵심 창입니다. 회전, 이동, 확대/축소, 뷰 선택, 객체 선택, 거리/면적 측정, 단면 상자, 공간 범례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 2D 창 (p.25): 3D 모델의 2D 도면을 확인하는 데 사용됩니다. 공간 계층에서 특정 층이나 공간을 선택하여 해당 영역의 2D 도면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체크리스트 창 (p.26): '검토 기준서'에서 제시한 체크 항목을 기반으로 다양한 법규 및 설계 기준을 빠르게 검토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각 체크 항목 클릭 시 관련 정보(공간 계층, 설계 개요, 설계 도서, 3D 뷰 등)가 자동으로 표시됩니다. 예시로 직통 계단 설치 거리, 방화 구획, 거실 반자 높이, 지하층 비상 탈출구, 건폐율 등의 검토 방법이 상세히 설명되어 있습니다.
- 이슈 목록 창 (p.38): 검토 과정에서 발견된 문제점(이슈)을 기록하고 관리하는 기능입니다. 이슈 그룹 생성/삭제, 이슈 항목 생성/수정/삭제/복원, 이슈 목록 파일(엑셀) 저장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슈 생성 시 현재 3D 뷰 상태의 미리보기 이미지가 함께 저장됩니다.
참고 사항:
- 건축위원회 심의 및 공공주택 사업계획 자료 등록 민원에서는 일부 서비스(BIM 가이드 조회, BIM 서식 입력)가 제공되지 않습니다.
- 표준 제출은 세움터 BIM 가이드에 따라 작성된 BIM 모델(IFC 파일)을 의미하며, Assess-Lite는 IFC 모델의 법규 검토를 자동으로 체크해주는 프로그램입니다.
- 비표준 제출 시에는 BIM 서식 입력 서비스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 체크리스트 검토 시 각 항목별로 필요한 정보(공간 계층, 설계 개요, 설계 도서, 3D 뷰)가 자동으로 표시되어 검토 효율성을 높입니다.
- 이슈 목록 기능을 통해 검토 과정에서 발견된 문제점을 체계적으로 기록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마인드맵]
NotebookLM을 이용해서 작성되었습니다.
디이씨(D.E.C)
martin@dec-w.com
'BIM_Guid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만분야 건설사업 BIM 적용지침 및 실무요령_2025-03-05 (0) | 2025.03.07 |
---|---|
ⓢ고속도로 BIM 기반 설계도 표준 개정(2022)_2022-12-21 (0) | 2025.02.19 |
ⓢ세움터 BIM 검토기준서 v1.0_2021-12 (0) | 2025.02.04 |
ⓢ세움터 BIM 업무지침서 v1.0_2021-12 (0) | 2025.02.04 |
ⓢ세움터 BIM 설계기준서 v1.0_2021-12 (0) | 2025.02.04 |